목차
인터넷을 사용함에 있어서 이제는 데스크탑 컴퓨터에 앉아서 PC화면으로 브라우저를 구동하는 경우보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등의 다양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해서 인터넷 검색과 서핑을 하는 경우가 많다.
다양한 해상도의 디바이스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안된 웹 레이아웃 형식이 바로 반응형 레이아웃이다.
이런 반응형 웹 레이아웃이 적용된 티스토리 블로그 스킨들이 배포되었다.
그 중에서도 내가 가장 쓸만하고 직관적이라고 생각되는 티스토리용 반응형 웹 스킨이 바로 Readiz님의 FastBoot 1.6.1 반응형웹 스킨이다.
패스트부트 반응형 웹스킨을 Readiz님의 블로그에서 다운받기 : http://blog.readiz.com/214#.U_XTQ_l_tO8
FastBoot 1.6.1 반응형 웹 티스토리 스킨 설치
패스트부트 반응형 웹 티스토리 스킨을 다운로드 받았다면 Zip압축을 풀고 티스토리 관리 메뉴의 "꾸미기-스킨"메뉴로 이동.
스킨 관리메뉴 상단 오른쪽에 "스킨등록" 버튼을 클릭.
"추가"버튼을 클릭해서 압축을 풀어둔 파일들을 탐색한다.
압축을 푼 파일들을 모두 선택해서 업로드하는데, 루트폴더와 image폴더가 한꺼번에 올라가지 않으므로, 각 폴더를 열어서 등록한다.
루트폴더에서 이미지스 폴더를 선택하더라도 폴더 안의 파일들이 추가되지 않으므로, 폴더에 들어가서 마저 다 업로드해주어야 한다.
파일목록 타이틀 우측에 있는 "스킨저장명"에는 구분을 위한 스킨의 명칭을 적으면 된다.
그리고 저장버튼을 눌러서 스킨을 스킨 보관함으로 보내는 것까지 완료.
스킨의 보관함 탭으로 이동.
저장한 스킨목록에서 "적용"버튼을 클릭해서 스킨을 적용해준다.
"스킨을 적용중입니다" 레이어팝업이 뜨고 사라지면 패스트부트 반응형웹 스킨이 적용된다.
스킨을 적용하고나면 기본설정된 스킨이 적용되어 있기 때문에, 화면설정 관리 메뉴로 이동해서 "화면출럭-선택화면"의 "글목록"을 원하는 갯수로 수정한다.
그리고 보여줄 컨텐츠를 "목록만"으로 바꿔 놓는 것이 좋다.
"내용만"이나 "내용+목록"으로 선택하면, 설정한 갯수의 포스팅 글이 모두 한 페이지에서 보여지게 되므로 애드센스 광고코드가 중복적용되거나, 광고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생긴다.
스압의 악몽은 두말할 것도 없다.
패스트부트 반응형웹스킨을 적용하게 되면, 티에디션이 사라진다.
물론 티에디션을 구동시킬 수 있지만, 패스트부트 반응형 웹 스킨을 사용하는 마당에 티에디션을 적용하면 스타일이 깨지게 되므로 그 깨진 스타일을 바로잡는 것이 괴로운 일이 될 것이다.
패스트부트 반응형웹스킨이 제공하는 플립보드 스타일의 메인화면도 충분히 근사하다.
어짜피 블로그 방문자의 10% 미만만이 메인페이지를 방문할 뿐이므로 쓸데 없는데 정력을 소비하지는 말자.
게시글의 화면으로 들어가면 이렇게 깔끔한 화면을 만날 수 있다.
패스트부트 반응형 웹스킨을 달았으니, 애드센스 광고를 적용하는 방법은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15.07.30 1750
'컴퓨터 인터넷 모바일 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그래프 만들기 (0) | 2021.10.16 |
---|---|
한글 2020 무료설치 한컴오피스 2020 체험판 한컴 2020 무료설치 (0) | 2020.04.04 |
서피스프로 서피스펜 펌웨어 검사도구 다운로드 방법 (0) | 2019.09.05 |
크롬 브라우저 폰트 변경하기 (네이버 검색화면, 모든 사이트 화면을 깔끔하게) 크롬 앱스토어의 "Stylus" 앱 설치 (0) | 2019.09.05 |
엠파이어 앤 얼라이즈 (0) | 2019.05.30 |
댓글